내가 본격적으로 영화 해적질의 네트워크에 빠지기 시작한 건 재작년부터였다. 2020년 6월, 영화 평점 기록 사이트인 레터박스(Letterboxd)에서 맞팔 관계에 있던 이란 국적의 유저가 홍상수 감독의 <도망친 여자>를 보았다고 기록한 것을 우연히 보게 되었다. 그때는 코로나가 창궐하기 시작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극장이나 영화제 같은 제도들이 잠깐이나마 작동을 멈춘 시기였는데, 그런 시국에 어떻게 영화를 미리 볼 수 있었던 건지 의문이 들었다. 구글에 검색을 해봐도 해외에서 이 영화가 개봉을 했다는 소식이나 영화제에서 상영 중이라는 정보를 찾을 수 없었다. 결국 그 유저에게 영화를 어떻게 보았는지 물어보기 위해 SNS를 통해 DM을 보냈고, 그렇게 나는 한 텔레그램 방에 초대를 받게 되었다.

[그림 1] 라울 루이즈의 필모그래피가 공유되고 있는 이란의 시네필 텔레그램 방

[그림 1] 라울 루이즈의 필모그래피가 공유되고 있는 이란의 시네필 텔레그램 방

내가 초대받은 방에서는 홍상수의 <도망친 여자> 뿐 아니라, 크리스티안 펫졸트 감독의 <운디네>, 차이밍량의 <데이즈> 같은 작품들의 스크리너가 유출이 되어 돌아다니고 있었다.¹⁾ 이란은 인터넷 검열이 굉장히 심한 나라로 알려져 있는데, 그 때문에 인구의 5000만 명 이상이 텔레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이란은 중국과 함께 국가에서 텔레그램을 차단시키는 몇 안 되는 나라이기도 한데, VPN을 통해 우회를 하거나 하는 방법 등으로 다들 잘 사용을 하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인지 이란의 시네필 커뮤니티도 많은 경우가 텔레그램을 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 방의 초대와 함께 여러 군데 다른 방들의 초대를 받으면서 이란 시네필 커뮤니티의 일면을 볼 수 있었다. 그 방들에는 하룬 파로키, 라울 루이즈, 왕빙, 크리스 마르케, 필립 가렐, 존 지안비토, 마크 라파포트 같은 감독들의 거의 모든 작품이 보기 좋게 아카이빙 되어 있었다. 어떤 방은 그냥 방제가 Farocki인데, 그 방에는 하룬 파로키의 거의 대부분의 작품이 보기 좋게 올라와 있다. 이들 방에서는 단순히 영화 파일만 공유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방에서는 페르시아어로 쓰인 장문의 비평이나 리뷰 글들도 올라오기도 하고, 《사이트 앤 사운드》나 《까이에 뒤 시네마》의 PDF 파일, 그리고 여러 영화 도서의 이북(ebook) 파일들이 올라오기도 한다. 작년 몬티 헬만의 부고 당일에는 몬티 헬만에 대한 단행본 서적이 올라왔다. 이 방들의 링크를 계속 타고 가다 보면, 이러한 음지의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이란 시네필들의 영화 웹진 같은 것들이 만들어지고 공유되는 것도 볼 수 있다.

[그림 2]

[그림 2]

나는 또 작년 DMZ국제다큐영화제에서 상영된 하라 마사토 감독의 <초국지소지천황>이라는 영화를 찾다가, 우연히 디스코드(Discord)의 여러 영화 밀수 서버에도 들어가게 되었다. 거기에서 나는 영화를 찾아서 vk(브콘닥테)라는 러시아²⁾의 페이스북 비슷한 SNS에 들어가 본 적이 있다면 익숙할 수도 있을 닉네임인 zen xiu라는 유저를 우연히 만나게 되었다. zen xiu는 vk에 주로 영화를 올리는 시네필인데, 그가 활동하고 있는 vk의 "FROM OUTER SPACE"라는 커뮤니티의 활동이 몹시 흥미롭다. 이 커뮤니티는 회원들의 자유로운 후원으로 유지되고 있는데, 이들은 희귀한 영화나 소실됐다고 여겨지는 영화들의 필름을 찾아다니면서 그걸 디지털로 복원시키고, 또 이들의 영어 자막을 만들어서 인터넷에 배포하는 일을 하고 있다. [그림 2]을 보면, 이들은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 시기 최초의 호러 영화인 <The Hour of the Werewolf>라는 작품을 모스크바의 아카이브에서 허가를 받아 디지털화한 후, 영어 자막을 제작해 웹에 배포했다. 어떻게 보면 국내에서라면 한국영상자료원이 하고 있는 일을 시네필 커뮤니티가 수행하고 있는 셈이다. 당시 zen xiu는 김수용 감독의 <화려한 외출>이라는 영화를 찾고 있었는데, 개인적으로는 러시아의 시네필이 한국의 고전 영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무척 신선하게 다가왔다. 그 영화는 현재 한국영상자료원의 공식 유튜브에 올라와 있지만 그때는 저작권 문제로 잠깐 영상이 내려간 상태였다. 나는 한국의 웹하드에서 얻은 영상을 zen xiu에게 보내주었고, 그는 그 영화를 영어로 번역해서 소개하고 싶다고 했다. 나는 영어 자막이 완성되면 자막을 검수해주겠다고 약속했지만, 나중에 <화려한 외출>이 영어 자막과 함께 한국영상자료원의 공식 유튜브에 다시 올라온 덕에 그런 수고는 덜게 되었다.

이 외에도 존(Jon W.)이라는 신원불명자가 운영하는 레어필름(rarefilmm)³⁾이라는 사이트라던지, 지금은 사라진 페이스북의 La Loupe라는 비공개 그룹 같은 여러 해적들의 정박지들이 있다. 하지만 해적들의 도시들 중에서 가장 전설적인 플랫폼은 카라가르가(Karagarga)일 것이다. 카라가르가는 비공개 트래커(private tracker) 사이트로, 가입하기 위해서는 초대장이 필요하며 회원제로 운영되는 비공개 토렌트 사이트이다. 이러한 비공개 트래커들은 까다로운 가입 절차 때문에 아이피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저작권망의 감시를 피할 수 있는 저작권 피난처로 사용된다. 그래서 인터넷에서의 어떤 자료의 최초 배포는 비공개 트래커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중간의 밀수꾼이나 도매상이라고 할만한 이들이 최초 배포된 자료를 공개된 토렌트 사이트나, 앞서 말한 디스코드나 텔레그램, 또는 유튜브나 씨네스트, 웹하드 등으로 밀수하는 것이 해적질 네트워크의 대략적인 구조이다. 카라가르가와 유사한 비공개 트래커 사이트들은 가입 시에 초대장이 필요하고, 사이트마다 지켜야 하는 규칙 같은 것들도 있다. 토렌트를 다 받은 후에도 바로 지우지 않고 최소 며칠간은 시드를 유지해야 한다든가, 다운로드를 한 만큼 적당한 양의 업로드를 해야 된다든가⁴⁾ 하는 규칙을 예로 들 수 있다.

카라가르가가 국내에서 유명해진 것은, 유운성 평론가가 「밀수꾼의 노래」에서 지나가듯이 서술한 어떤 대목 때문일 것이다. 그 글에 쓰여있듯, 영국의 영화잡지 《사이트 앤 사운드》의 연말 설문에서 브래드 스티븐스라는 평론가는 2010년에 카라가르가에서 나루세 미키오의 현존하는 67편의 작품 중에 59편의 영어 자막을 제작해서 배포한 일을 가지고, 이를 그해의 사건으로 꼽기도 했다.⁵⁾ 2010년 당시에는 67편 중 59편이라고 했지만, 현재는 나루세 미키오의 67편 전작의 영어 자막이 만들어졌다. 카라가르가는 씨네스트보다도 자막 포럼이 활성화되어 있어서, 세계 각국의 영화들의 영어 자막 팬섭(fansub)이 거의 하루에 한 편 이상의 꼴로 만들어지고 있다.

카라가르가 외에도 여타 영화 관련 비공개 트래커는 PassThePopcorn, Cinemageddon, Cinematik, Secret-Cinema, Cinemaz, Avistaz 등이 있다. 비공개 트래커들은 가장 흔한 자료가 올라오는 곳부터, 아주 독점적인 자료들이 올라오는 곳까지 등급이 어느 정도 나뉘는데, 카라가르가 같은 경우는 후자에 가깝다. 카라가르가는 운영자나 VIP들의 초대로만 가입이 가능해 들어가기가 굉장히 까다로운 최상위 계층의 트래커로 유명하다. 2015년 이전에는 비교적 들어오는 것이 어렵지 않았지만, 2015년 이후 어떤 사람이 저작권 트롤 사건을 일으킨 후로 가입 조건이 굉장히 까다로워졌다고 한다. 여타 비공개 트래커들은 주기적으로 일반 유저들에게도 초대장을 배포하거나 공개 가입을 받기도 하는데, 카라가르가 같은 경우에는 일반 유저들에게는 거의 몇 년에 한 번 정도의 꼴로 드물게 초대장을 배포하기 때문에 굉장히 접근하기 까다롭다. 나 같은 경우에는 영화를 찾아다니는 와중에 카라가르가의 VIP 중 한 명인 어떤 일본의 호러 영화를 연구하는 연구자와 친분이 생겨, 그분에게 어떤 일본 호러 영화의 영어 자막을 만들어주는 대가로 운 좋게 초대장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사이트에는 영화 연구자, 비평가, 영화제 프로그래머 등도 다수가 활동 중인데, 가령, 국내에도 번역된 『존 포드』의 저자 태그 갤러거도 카라가르가의 열성적인 회원이다. 그는 자신이 직접 『존 포드』의 프랑스어 판본을 카라가르가에 업로드하기도 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희귀한 필름들을 스캔한 후 DVD로 변환해 올리기도 한다. (그는 젊은 시절부터 자신이 가지고 있는 16mm 필름들을 여러 영화제들에 대여해 주고 그걸로 돈을 벌기도 했었던 인물이다) 적지 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활동하는 걸 보면 과연 프로페셔널한 밀수꾼이라는 생각이 절로 들게 된다. 취향이 확고한 그는 주로 60년대 이전의 고전기 할리우드 영화들을 주로 받아가는데, 그가 받아간 영화들을 나란히 감상하는 것도 썩 괜찮은 영화 감상법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사실 내가 카라가르가에 처음 들어오면서 가장 궁금했던 것은, '이곳에 한국인이 있을까?'라는 것이었다. 당장 나부터 이곳에 들어오고 싶었지만 방법이 없어서 쩔쩔매다가 일본 영화의 영어 자막을 만드는 수고를 통해 겨우 들어올 수 있었기 때문에, 그런 수고를 들일 정도의 인물이 과연 있을지 궁금했던 것이다. 그러다 우연히 토렌트 클라이언트의 피어 목록을 보다가 한국의 아이피 주소를 쓰고 있는 피어를 하나 발견했다. 몇몇 비공개 트래커의 경우, 토렌트 클라이언트의 피어 항목에 뜨는 아이피 주소와 사용하고 있는 토렌트 클라이언트 정보를 통해서 같은 영화를 다운로드하고 있는 유저라면 닉네임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다. 카라가르가 같은 경우는 닉네임만 알아내면 그 유저가 어떤 영화를 다운로드했는지에 대한 내역을 쭉 확인할 수 있어서 사실상 어떤 영화를 다운로드하는지에 대한 프라이버시는 전혀 없는 세계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이 한국 아이피의 유저가 어떤 분일지 궁금해 받아간 영화들을 쭉 살펴보았다. 유심히 살펴보니, 2021년 모 영화제가 열리기 2-3달 전에 해당 영화제의 상영작들을 쭉 몰아서 받아간 기록이 있어 그 영화제의 프로그래머분이 사용하는 계정이겠구나 하고 유추가 가능했다. 한편 카라가르가에서는 한 달에 하나씩 주제를 정해서 아카이빙을 하는 프로젝트가 있는데, 해당 영화제가 개최되기 몇 달 전에 그 프로젝트의 주제가 "일본의 여성 영화 감독"이었다. 그에 따라 히다리 사치코와 하네다 스미코 같은 일본 여성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작품이 그 시기에 업로드 되었는데, 흥미로운 것은 해당 계정이 정확히 그 영화들을 받아갔고, 그 감독들의 작품이 작년 그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해적질 사이트의 대안적인 큐레이션이라고 할만한 것이 실제 영화제의 프로그래밍에까지 알게 모르게 기여한 사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카라가르가 같은 사이트들이 어둠의 페스티벌 스코프⁶⁾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그림 3]

[그림 3]

영화제 뿐만 아니라 시네마테크와 해적질 사이의 은밀한 상생도카라가르가에서 목격할 수 있다. [그림 3]은 시네마테크 프랑세즈의 온라인 플랫폼인 HENRI에서 장 클로드 비에트의 <사물들의극장>이라는 작품에 대해 카라가르가 유저가 만든 자막을 무단으로 사용했다가, 그 유저가 문제를 제기하자 HENRI 팀이 직접 등장해 사과(?)같은 걸 남긴 기록이다. "HENRI 팀입니다. 우리 같은 도둑들은 당신의 번역을 훔치는 데 허락을 구하지는 않았지만그걸 전혀 나쁜 짓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불행히도 당신이크레디트 되지는 않았지만, 훌륭한 작업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아, 근데 혹시 새로운 번역이 있나요?)"  앙리 랑글루아의 후예들이라 그런지, 도둑질을 하고 나서도 나쁜 짓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는 뻔뻔한 태도가 재밌게 느껴진다. 이런 사례들을 보고 있자면, 국내의 시네마테크나 영화제의 자막들이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 건지 궁금해지기도 한다. 시네마테크에서 영화 한 편당 자막제작 비용이 150만원에서 200만원 정도의 선이라는 영상자료원프로그래머의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시네마테크나 영화제의 예산이 매우 한정되어 있다는 점과 자막 제작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사실을 생각해 보면, 사실 이런 해적질과의 상생은 오히려 일종의돌파구가 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이러한 상생은 작은 규모의 영화제에서라면 지금도 은밀하게 이뤄지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나는 그 정도의 금액을 들여 만든 자막들을 아카이브에 열람이 불가능한 형태로 방치해두는 것이 어떻게 보면 굉장한 낭비나 다름없지 않은가 하는 생각도 자주 했는데, 전해 듣기로는 작년 강릉영화제의 포럼에서 시네마테크나 영화제의 자막을 다운로드가 가능한 형식으로 배포하고 수익은 번역가들에게돌아가게 하는 그런 걸 구상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오고 갔다고 한다. 이것이 잘 성사되기를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