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재산권 같은 건 없다. - 장 뤽 고다르
이 표현이 겸연쩍기는 하지만 나는 해적이다. 나는 비공개 토렌트 사이트인 카라가르가(Karagarga)에서 50명이 채 되지 않는 바운티 헌터 등급으로 활동하고 있고, 내가 밀수한 몇몇 영화들은 우부웹(UbuWeb)에 올라오기도 했다. 또 한국의 영화 자막 커뮤니티인 씨네스트에서 관심에 따라 몇몇 영화들은 직접 번역해서 올리기도 하고 있으며, 씨네스트의 여러 자막 제작자들에게 영상 소스와 영문 자막을 제공하는 일을 하고 있다.
몇 년 전, 어떤 SNS에서 누군가가 씨네스트가 사라지면 득보다 실이 더 많을 것이라고 썼다가 어떤 영화잡지의 기자들로부터 웃음도 안 나온다느니, 저런 멍청한 소리는 처음 들어본다고 공격받은 적이 있었다. 저작권은 창작자를 위한 것이라는 걸 주지시키기 위해 어린이백과사전까지 인용한 그 기자에 대해서는 굳이 말을 더 얹고 싶지는 않다. 또한, 나는 누군가가 해적질이 영화 ‘산업’을 망친다고 주장한다면, 그것에 대해서도 굳이 반박하고 싶은 생각이 없다. 이 글이 겨냥하고 있는 시퀀스가 애초에 그곳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오히려 해적질이 만들어내는 틈새를 포착하고, 그 틈새가 만들어내는 문화를 전염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에서 한국에 공식적인 경로로 수입되어 개봉하는 상업 영화나 중소규모의 아트하우스 영화들에 대한 해적질은 사실 맥거핀에 가깝다는 걸 먼저 밝혀야겠다. 나는 한국에서 공식적인 경로로는 서비스되고 있지 않은 수많은 고전들이나 아트하우스 영화들도 해외의 2차 매체(블루레이, DVD)나 스트리밍 서비스(크라이테리언 채널, MUBI 등)를 통해서 보아야 한다거나 정식으로 수입되기를 기다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극단적인 사람도 보았는데, 이들 앞에서 나의 언어는 무력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영화는 반드시 극장에서 봐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극장의 관계자라면 그 말의 순수성을 의심할 수밖에 없듯이, 저런 주장을 하는 이들의 저의를 심히 의심하면서, 앞으로 5회 분의 연재에 걸쳐 내가 해적질을 하면서 목격한 여러 사례들을 가로지르며 그들에게 반대로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시작은 씨네스트다.
정품이라는 신화
내가 씨네스트에 처음 접속한 것은 2015년이었다. 그냥 몹시 자연스러운 수순이었다. 내가 영화를 보기 시작한 것이 2015년이었기 때문이다. 당시에 나는 아벨 페라라 감독의 <악질 경찰>(Bad Lieutenant, 1992)이라는 영화가 몹시 보고 싶었다. 왓챠의 몇몇 유저들로부터 이 영화가 굉장하다는 소문을 들었기 때문이다. 아마도 해당 유저들 상당수는 2015년 5월에 부산의 영화의 전당에서 열린 기획전 "류승완이 사랑한 형사영화"에서 해당 영화를 보았던 것 같다. 영상은 쉽게 구할 수 있었지만 한국어 자막이 문제였다. 구글의 캐시된 페이지에서는 해당 영화의 한국어 자막이 씨네스트에 올라온 기록이 있다고 알려주었지만, 자막 제작자가 글을 삭제한 건지 한국어 자막을 도저히 찾을 수 없었다. 알고 보니 자막 제작자가 레벨 2 이상만 열람 가능한 게시판(해당 게시판은 지금은 사라졌다)으로 자막을 옮긴 것이었다. 그래서 레벨이 낮았던 나는 자막 제작자에게 메일까지 보내 어렵게 자막을 구해서 영화를 보았던 기억이 난다. 이건 여담이지만, 2015년에 내가 <악질 경찰>을 봤을 때, 이 영화를 보았다고 기록한 왓챠 유저가 딱 100명 정도였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그러다가 이동진 평론가가 2016년에 왓챠에서 이 영화에 만점을 주면서 ‘하비 케이틀의 미친 연기’라는 코멘트를 남겼고, 얼마 후 그 자막 제작자분이 만든 <악질 경찰>의 한국어 자막이 공개된 자료실에 올라왔다. 그리고 2022년 5월을 기준으로, 해당 영화의 왓챠 평가자 수는 무려 1,627명에 이르고 있다. 7년이라는 시간 동안 거의 16배가 가깝게 뛴 셈이다. 물론 이 영화는 이전에 국내에 비디오테이프나 DVD로 출시됐었던 영화기도 하고, 몇몇 사람들에게는 이미 대안적인 정전의 자리에 위치해 있을 수도 있는 나름 유명한 작품이기도 하다. 하지만 한국어 자막 공개 이전에 100명 정도밖에 보지 않은 영화를, 한국어 자막 공개 이후 최소 1,627명이 보았다는 것이 (물론 이동진 평론가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한 측면도 있겠지만) 씨네스트의 한국어 자막 덕택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내가 기억하는 한 이 영화는 2015년 5월에 부산 영화의 전당에서 류승완 감독의 추천작으로 상영된 이후, 국내에서 극장에서 상영된 적이 한 번도 없다.
이는 한국어 자막의 제작이 영화의 보급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하나의 단적인 사례일 것이다. 씨네스트 이야기를 더 해보자면, 내가 본격적으로 영화를 보기 시작한 2017년은 상당수의 영화가 그림의 떡처럼 느껴지던 시절로 기억된다. 보고 싶은 영화들은 굉장히 많았지만 한국어 자막이 없는 것들이 많았다. 물론 영어 자막이 있는 작품이라면 영어 자막을 통해 보는 방법이 있었겠지만, 안타깝게도 나는 영화를 영어 자막으로 멈추지 않고 볼 만큼 영어를 잘 하진 못했다. 그렇기에 쉴 새 없이 대사가 쏟아지는 장 으스타슈 감독의 <엄마와 창녀>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시네마테크나 영화제의 프로그램에 이 영화가 포함되기를 오매불망 기다리거나, 혹은 씨네스트에서 한국어 자막이 만들어지는 걸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 시네마테크보단 씨네스트가 한 발 빨랐다. 'umma55'라는 유저가 <엄마와 창녀>의 한국어 자막을 만들어서 배포한 것이다. 사실 씨네스트의 역사는 2018년 5월, umma55의 등장 전후로 나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umma55의 등장 이전에는 '오철용(태름아버지)' 같은 전설적인 자막 번역가가 있었지만 그분은 2014년에 이미 자막 제작을 아예 중단했고¹⁾, 'macine'나 '줄리아노' 정도를 제외하면 꾸준히 자막을 만드는 자막 제작자들이 드물었다. 하지만 umma55의 등장 이후로는 이 유저를 중심으로 고전 영화 팬층이라고 할만한 일련의 무리들이 생기고, 그들을 중심으로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또 이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아마추어 자막 번역가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다. 그렇게 그림의 떡으로만 여겨지던 작품도 하나둘씩 번역되기 시작했는데, 씨네스트의 전성기에는 정말 시네마테크의 프로그램을 완전히 대체가 가능한 수준으로, 하루에 세 편 이상(보통 시네마테크의 하루 상영작은 많아봐야 세 편이다)의 꼴로 고전 영화나 개봉되지 않은 아트하우스 영화, 심지어는 몇몇 실험영화들의 한국어 자막이 씨네스트에 올라왔다.
2018년부터 지금까지 씨네스트에서 한국어 자막이 제작된 작품들을 쭉 나열해 보면, 마리아노 이나스의 <라 플로르>, 요나스 메카스의 <우연히 나는 아름다움의 섬광을 보았다>, 왕빙의 <사령혼>, 한스 위르겐 지버베르크의 <히틀러>와 <파르지팔>, C.W. 윈터와 안데르스 에스트룀의 <일과 나날 (시오타니 계곡의 시오지리 다요코의)> 그리고 <영화사(들)>을 포함한 장 뤽 고다르의 영화 39편, 나루세 미키오의 영화 23편, 에른스트 루비치 22편, 장 르누아르 21편, 아녜스 바르다 20편, 장 마리 스트라우브와 다니엘 위예의 영화 19편,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²⁾을 포함한 파스빈더의 영화 16편, 구로사와 기요시 16편, 존 포드 15편, 사티야지트 레이 12편, 마누엘 드 올리베이라 10편, 그리고...
D.W. 그리피스, 에리히 폰 스트로하임, 라울 월쉬, 킹 비더, 하워드 혹스, 헨리 킹, 루벤 마물리언, 윌리엄 A. 웰먼, 윌리엄 와일러, 도로시 아즈너, 프레스턴 스터지스, 미첼 라이슨, 빌리 와일더, 프리츠 랑, 로버트 시오드막, 자크 투르뇌르, 돈 시겔, 조셉 H. 루이스, 안드레 드 토스, 샘 페킨파, 새뮤얼 풀러, 로버트 알드리치, 존 밀리어스, 피터 예이츠, 일레인 메이, 클라우디아 웨일, 바바라 로든, 아벨 강스, 루이 델뤽, 장 엡슈타인, 빅터 쇠스트롬, 지가 베르토프,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세르게이 파라자노프, 오타르 이오셀리아니, 키라 무라토바, 알렉산더 소쿠로프, G.W. 팝스트, 레니 리펜슈탈, 막스 오퓔스, 사샤 기트리, 장 그레미용, 자크 베케르, 클로드 오탕 라라, 조르주 프랑주, 로베르 브레송, 에릭 로메르, 프랑수아 트뤼포, 자크 리베트, 자크 로지에, 장 으스타슈, 알랭 카발리에, 뤽 물레, 필립 가렐, 마르그리트 뒤라스, 크리스 마르케, 샹탈 아케르망, 로베르토 로셀리니, 비토리오 데 시카, 비토리오 데 세타, 안토니우 헤이스-마르가리다 코르데이루, 파울루 호샤, 루이스 부뉴엘, 로베르토 가발돈, 에밀리오 페르난데스, 바바라 코플, 바바라 해머, 험프리 제닝스, 켄 러셀, 니콜라스 뢰그, 미조구치 겐지, 우치다 도무, 야마나카 사다오, 시미즈 히로시, 가와시마 유조, 오가와 신스케, 하라 카즈오, 사토 마코토, 츠치모토 노리아키, 스즈키 세이준, 쿠라하라 코레요시, 시노다 마사히로, 쿠로키 카즈오, 타나카 노보루, 소네 추세이, 오바야시 노부히코, 소마이 신지, 위앤무, 리노 브로카, 리트윅 가탁, 구루 두트, 라지 카푸르, 므리날 센, 마니 카울, 메틴 에륵센, 바흐람 베이자이, 소흐랍 샤히드 살레스, 에브라힘 골레스탄, 다리우스 메흐르지, 유세프 샤힌, 헨리 바라카트, 샤디 압델 살람, 우스만 셈벤, 오스왈도 리베이로 칸데이아스, 주제 모지카 마린스, 호제리우 스간젤라, 카렐 제만, 노먼 맥라렌, 돈 헤르츠펠트, 피에트로 마르첼로, 라야 마틴, 니콜라스 페레다, 기욤 브락, 베르트랑 만디코, 알렉산드르 코베리체, 라이다 라순디, 가이 셔윈, 니콜라 레, 히토 슈타이얼... 전부 열거하기도 힘든 감독들 작품의 한국어 자막이 씨네스트에서 2018년부터 2022년 사이에 만들어졌다. 이게 무려 4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씨네스트가 이룩한 결과물이다.